尹대통령 "北미사일 위협, 한·미 공동 대응"…마지막 행선지 오산 'KAOC' 방문
尹대통령 "北미사일 위협, 한·미 공동 대응"…마지막 행선지 오산 'KAOC' 방문
┃尹-바이든, 마지막 일정 'KAOC' 방문 / '한미연합 공중작전 사령탑', 한미 장병 격려 / 美 한반도 전문가들 "정상회담, 한미동맹의 중요성 재확인" / 바이든, 오산KAOC서 방한일정 마무리 / 尹 대통령과 “엄지척” 작별 / 바이든 대통령, 2박3일 방한 마치고 일본으로 출발
윤석열 대통령이 조 바이든 대통령과 '오산 항공우주작전본부(KAOC·Korean Air and Space Operations Center)'를 방문하고 북한의 고도화하는 미사일 위협에 한국과 미국이 공동으로 대응하겠다고 밝혔다.
윤 대통령은 22일 오후 조 바이든 미 대통령과 함께 '오산 지하벙커'인 KAOC를 방문하고 "이 곳은 날로 고도화되는 북핵·미사일 위협에 한미가 공동으로 대응하는 핵심적인 장소이자 한미동맹을 상징하는 곳"이라며 "또한 '3축 체계'를 운용하는 중심이고 그 통제의 중심"이라고 말했다.
이어 한미 양국 장병들을 향해 "바이든 대통령과 함께 여러분들을 만나고 이 부대를 방문한 것은 한미간에 강력한 안보동맹을 상징하는 것이다"며 "여러분들이 세계의 자유와 평화 국가에 대한 애국심에 경의를 표한다"고 덧붙였다.
KAOC는 공군작전사령부 예하 작전본부로 한반도 전구(戰區) 내 항공우주작전을 지휘·통제하는 한국군의 '전략사령부' 역할을 담당하고 있으며 평택 오산 미국 공군기지 지하벙커에 위치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한국형 3축 체계' 가운데 킬체인(Kill Chain)과 한국형 미사일방어체계(KAMD) 작전을 총괄하는 'K2 작전수행본부'도 KAOC 내에 있다.
윤 대통령은 "오산기지는 1950년 6월 25일 공산군이 침략하고 5일만에 트루먼 미 대통령이 미군 투입을 명령해 스미스 부대가 공산군과 제일 먼저 교전한 장소"라며 "그만큼 미군이 대한민국의 자유와 평화를 위해서 최초로 피를 흘린 곳이다. 여러분들의 우정과 우의가 바로 한미동맹의 힘"이라고 말했다.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22일 오후 오산 공군작전사령부 내 항공우주작전본부(KAOC) 방문을 끝으로 2박 3일 간의 방한 일정을 마무리하고 이날 오후 3시37분쯤 경기도 평택시 오산 미군기지에서 박진 외교부 장관의 환송을 받으며 다음 순방지인 일본으로 떠났다.
바이든 대통령을 출국에 앞서 방한 마지막 일정으로 윤석열 대통령과 KAOC를 찾았다. 바이든 대통령은 이 자리에서 “한미 양군은 지금도 여전히 감시하고 있고 양군의 통합과 조정은 10년전, 20년전, 40년전처럼 필수적”이라며 “(한미동맹이) 위협을 억제하고 안정을 유지하는 것은 오늘날 한반도뿐만 아니라 전 세계적으로도 매우 중요하다”고 말했다.
이어 “이것은 윤 대통령과 지난 며칠간 나눈 이야기이기도 하다”고 강조했다. 바이든 대통령은 “여러분 덕분에 한국은 (한국전쟁 후) 70년이 지난 이 시점에 강한, 번영하는, 혁신적인 민주주의 국가가 됐다”며 “또 우리의 동맹은 날이 갈수록 더 강해지고 있다”고 한미 장병들을 격려했다.
윤 대통령도 “이곳은 날로 고도화되는 북핵·미사일 위협에 한미가 공동으로 대응하는 핵심적인 장소이고 한미동맹을 상징하는 곳”이라며 “이른바 ‘3축 체계’를 운용하는 중심이고 그 통제의 중심”이라고 말했다.
또 “바이든 대통령과 제가 함께 여러분들을 만나고 이 부대를 방문한 것은 한미간에 강력한 안보동맹을 상징하는 것”이라며 “여러분들이 세계의 자유와 평화 국가에 대한 애국심에 대하여 경의를 표한다”고 밝혔다.
두 정상은 KAOC 방문을 마친 뒤 오후 2시25분 쯤 작별 인사를 나눴고 바이든 대통령의 차량이 떠날 때 두 정상은 서로를 향해 엄지척 인사를 건넸다.
한편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은 KAOC 방문을 마지막으로 방한 일정을 공식적으로 마무리했다. 바이든 대통령은 박진 외교부 장관의 배웅을 받으며 일본으로 출국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