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 3. 26. 04:12ㆍ사회 · [ 종합 ]
【사회】해외 입양인의 쓸쓸한 마지막 길…그는 돌아온 조국에서 떠날 때도 이방인이었다.
┃네덜란드로 입양됐던 한 남성이 생활고를 겪다가 숨졌다. / 50년 전, 네덜란드로 입양됐던 한 남성이 한국에서 / 생활고를 겪다가 홀로 숨진 사실이 뒤늦게 드러났다.
50년 전, 네덜란드로 입양됐던 1969년생 '문영 휀스트라' 씨 돌아온 조국에서 그는 왜 그토록 외롭게 생을 마감하게 된 건지, 그의 삶을 따라가 봤다.
영정사진 속 남성의 이름은 문영 휀스트라, 한국 이름과 네덜란드 성씨를 합친 이름으로 1969년 한국에서 태어났지만 5살 때 입양돼 그의 국적은 네덜란드다.
하지만 그는 자신이 한국인임을 잊지 않았고 결국 마흔이 되던 2008년 돌아왔다.
“고 [문영 휀스트라 지인/네덜란드 입양인]”"많은 한국계 입양인들은 '이곳이 우리나라다'라고 생각해 한국으로 돌아오고 있다." / 그러나 그는 한국에서도 문영 씨는 이방인이었고 서툰 한국말에 아는 사람 하나 없이 닥치는 대로 일을 했지만 가난은 그림자처럼 따라붙었다. |
[문영 휀스트라 지인/네덜란드 입양인]
"문영 씨는 야간 택배 일을 했습니다. 마지막엔 건물 청소도 했습니다."
그럼에도 문영 씨는 웃음을 잃지 않았다고 친구들은 말했다.
[송종근/네덜란드 입양인]
"농담하는 걸 좋아하고 분위기를 좋게 만들었습니다."
생활고에 시달리던 그가 마지막 살던 곳은 보증금 없는 월세 35만 원짜리 작은 고시원 방 한 칸이었다.
문영 씨는 고시원 자신의 방문 앞에서 쓰러졌고 이를 이웃주민이 발견하고 신고했다.
심장마비였다.
[옆방 주민(음성변조)]
"새벽에 어디서 '쿵' 소리가 나서…여기 누워있더라고요."
급히 병원으로 옮겨졌지만 결국 숨졌다. 그가 한국으로 돌아온 지 16년 만이었다.
수십 년 왕래도 없던 네덜란드 가족은 시신을 인수하지 않겠다는 뜻을 전해왔다. 결국 숨진 지 두 달 가까이 지난 14일에야 무연고 장례가 치러졌다.
문영 씨처럼 해외 입양됐다 한국에 돌아와 정착한 사람은 수백 명에서 천 명 남짓으로 추정되지만 정확한 통계는 현재 없다.
[송종근/네덜란드 입양인]
"입양인들을 돌보고 그들이 문제를 겪을 때 쉽게 접촉할 수 있는 기관이 있어야 합니다."
일각에선 실태 조사와 함께 이들의 적응을 도울 수 있는 실질적인 대책이 필요하다는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사회 · [ 종합 ]'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보이스피싱 '김미영 팀장' 필리핀서 탈옥…우리 정부가 대응에 나섰다. (0) | 2024.05.09 |
---|---|
야단쳤다며 엄마 살해한 10대 아들 ‘징역 20년’…조건 없는 사랑을 베풀었는데 (0) | 2024.03.26 |
【사회】7남매의 맏이 '투병' 중인 엄마 대신 동생들 돌봐…자전거 훔친 고교생 (1) | 2024.02.25 |
경찰. 맨발로 내복만 입고 배회하던 3살 아이…무사히 엄마 품에 안겨 집으로 돌아갔다 (0) | 2024.02.02 |
이태원참사 유족, 특별법 재의안 의결에…'쌍특검법'에 이어 두 번째 거부권 행사 (0) | 2024.01.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