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 10. 8. 00:59ㆍ탈북 · [ 종합 ]
조성길 대사대리의 부인 북한으로 돌아가고 싶다…언론에 '송환 희망' 의사 밝혀
한국 정착이 뒤늦게 알려진 조성길 전 주이탈리아 대사대리의 부인 북한으로 돌아가길 원해
조성길 도피 중 프랑스·미국 망명 시도했지만 실패 / 국내 거주 조성길 부인 "딸 걱정돼 北에 돌아가고 싶다" / 동유럽 국가서 北대사관에 전화 위치 노출 / 딸 걱정에 한국행 거부 북송 시도 좌절 / 조성길 부인 언론에 '송환 희망' 의사 밝혀 귀순 사실 공개돼 |
지난 2년 동안 행방이 묘연했던 조성길 전 주이탈리아 대사대리의 부인이 북한으로 돌아가길 원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7일 MBC는 조 전 대사대리의 부인이 일부 언론에 북한 송환 의사를 밝히면서 귀순 사실이 뒤늦게 알려졌다고 보도했다. 조성길 전 주이탈리아 대사대리의 부인인 이씨가 망명 중에도, 국내 정착 후에도 한국행을 원치 않았다고 이날 전했다.
이날 보도에 따르면 조 전 대사대리는 2018년 11월 이탈리아 로마에서 잠적한 이후 8개월 동안 스위스, 프랑스, 동유럽 국가 등을 거쳐 지난해 7월 국내에 들어왔다.
조 전 대사대리는 처음 이탈리아에 신변 보호를 요청했지만 안전이 우려돼 스위스로 도피했다고 말했다. 이후 프랑스 망명을 시도했지만 좌절됐다. CIA를 통해 미국행도 타진했지만 성사되지 않았다.
CIA의 보호 아래 조 전 대사대리는 다른 나라로 망명을 시도하다 지난해 2월 북한대사관이 없는 동유럽 A국가의 한국대사관으로 갔다.
조 전 대사대리는 A국에서 북한 당국에 소재지가 노출됐다. 이씨가 이탈리아에 두고 온 딸의 신변 안전을 확인하기 위해 주이탈리아 북한 대사관에 전화를 걸었기 때문인 것으로 알려졌다.
북측은 딸이 잘 지내고 있다며 이씨의 북송을 설득했다. 이씨는 한국행 거부 의사를 밝혔다. 북한은 A국 주재 중국대사관을 통해 이씨를 송환하려 했지만 결국 실패했다.
중국, 미국, 한국이 개입된 상황에서 북한은 송환을 요구했고 조 전 대사대리 부부의 입국은 지연됐다. 지난해 7월 이씨는 최종적으로 귀순 의사를 밝힌 뒤 한국에 들어왔다.
하지만 이씨는 딸에 대한 걱정으로 북한에 돌아가고자 했고 몇몇 언론에 자신의 심경을 밝혔다. 이로써 1년 3개월 동안 정보당국도 함구했던 조 전 대사대리의 귀순 사실이 세상에 알려졌다.
정부는 조 전 대사대리 부부의 한국행을 철저히 숨겼지만 북한 당국도 이들이 지난해 7월 한국에 정착한 사실을 알고 있었다고 말했다.
이씨는 현재 조 전 대사대리와 떨어져서 혼자 지내고 있으며 경제적 어려움을 느끼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탈북 · [ 종합 ]' 카테고리의 다른 글
태영호 국민의힘 의원…류현우,“노예같은 삶, 물려줄수 없었을 것” (0) | 2021.01.26 |
---|---|
탈북민 5명 한국으로 향하던 중 중국에서 북송될 위기…유엔 북송 "중단하라" (0) | 2020.12.30 |
법원 통일부의 탈북민단체 법인 취소, 처분 모두 제동 걸었다 (0) | 2020.08.18 |
월북자, 북한 도착장면 감시장비에 찍혀…군 감시장비 사실상 '무용지물’ (0) | 2020.07.31 |
박상학 대표"여기가 평양인가"…"문재인 좌파 독재가 국민에게 재갈 물려“ (0) | 2020.07.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