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 10. 10. 07:49ㆍ공수처 [ 법원 ]
【시사/포커스】 "법원, 스토킹범죄 피해자 보호 소극적"…실형은 4명 중 1명도 안돼
┃"스토킹범죄 실형은 4명 중 1명도 안돼 / 박용진 의원 집유·무죄는 증가" / 유치장 잠정조치 인용률 57% / 박용진 "법원, 피해자 보호 소극적"
박 의원은 지난 "신당역 살인사건으로 전 국민이 검·경과 법원의 안일한 대응에 실망한 지 1년이 지났지만 아직까지 법원은 피해자 보호에 소극적 이라며 가해자에게 잠정조치가 적시에 부과되고, 죄에 상응하는 처벌이 내려져야 한다고 했다
스토킹처벌법 위반 혐의로 재판에 넘겨진 이들 중 실형을 선고받는 경우는 4명 중 1명도 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10일 더불어민주당 박용진 의원실이 대법원에서 받은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스토킹처벌법 위반 혐의로 재판에 넘겨진 959명 중 1심에서 징역형의 실형을 선고받은 사람은 218명으로 22.73%였다.
올해 1∼6월 스토킹처벌법 위반 혐의로 1심 재판을 받은 1천264명 중 실형 선고가 196명으로 전체의 15.51%에 그쳤다. 스토킹 범죄로 재판을 받는 사람은 대폭 늘었는데 실형 선고율은 오히려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지난해 1심에서 집행유예를 선고받은 스토킹처벌법 위반 혐의자는 312명(32.53%)으로 무죄를 선고받은 사람은 11명(1.15%)이었다. |
반면 집행유예나 무죄를 선고받는 비율이 오히려 늘어난 것으로 조사됐다.
올해 6월까지는 재판에 넘겨진 이들 중 445명(35.21%)이 집행유예를, 18명(1.42%)이 무죄를 선고받아 지난해보다 높은 수치를 보였다.
법원이 스토킹 범행을 조기에 차단하기 위한 '잠정조치' 결정에 소극적이라는 비판과 지적이나오고 있다.
범행 정도가 중한 스토킹처벌법 위반 혐의자를 유치장 등에 최대 한 달간 가둘 수 있는 잠정조치 4호의 경우, 경찰은 지난해 총 295건을 신청했으나 이 중 168건(56.95%)만이 인용됐다.
피해자 접근을 차단하는 잠정조치 2호(88.14%)나 피해자와의 통신을 금지하는 잠정조치 3호(88.57%) 인용률보다 현저하게 낮다.
박 의원은 "신당역 살인사건으로 전 국민이 검·경과 법원의 안일한 대응에 실망한 지 1년이 지났지만 법원은 여전히 피해자 보호에 소극적"이라며 "가해자에게 잠정조치가 적시에 부과되고, 죄에 상응하는 처벌이 내려져야 피해자를 보호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공수처 [ 법원 ]'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재명, "검사 사칭 사건 관련 위증 요구"혐의…유창훈 판사도 혐의 소명된다. (0) | 2023.10.17 |
---|---|
【뉴스/포커스】 이화영, 도주 우려 증거인멸교사 혐의로…두 번째 구속연장 6개월 연장 (0) | 2023.10.15 |
【사회/비평】 "현직 대표" 고려한 법원 판단?…“현직 대통령”도 고려한 법원 판단였나? (0) | 2023.09.29 |
한 장관 "죄 없다는 것" 아냐…이 총장 "보강수사해 합당한 처벌 이뤄지게 최선" (0) | 2023.09.27 |
이재명 구속영장 기각…백현동·대북송금 의혹 모두 소명 부족 증거인멸 염려 단정 못해 (0) | 2023.09.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