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정은 “핵 억제력으로 우리 안전 영원히 담보”…정전 67주년 6.25전사자묘 참배

2020. 7. 28. 08:32북한 · [ 종합 ]

김정은 핵 억제력으로 우리 안전 영원히 담보정전 67주년 6.25전사자묘 참배

 

 

 

김정은 자위적 핵 억제력으로 안전 담보 / 이 땅에는 앞으로 전쟁 없을 것” / “자위적 핵 억제력으로 우리 안전 영원히 담보” / 김정은, 노병대회 연설 / 어제 제6차 전국노병대회서 연설 / 제국주의 "고강도 압박에도 끄떡없어" / 김정은, 정전 67주년 맞아 6.25전사자묘 참배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6·25전쟁 휴전 67주년을 맞아 '자위적 핵 억제력'을 언급하며 국방력 강화 의지를 천명했다.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은 이 연설에서 자위적 핵 억제력으로 하여 이 땅에 더는 전쟁이라는 말은 없을 것이며 우리 국가의 안전과 미래는 영원히 굳건하게 담보될 것이라고 말했다.

 

28일 조선중앙통신이 보도에 따르면 김 위원장은 조국해방전쟁 승리의 날’(휴전) 67주년이었던 지난 27일 평양 4·25문화회관에서 열린 제6회 전국노병대회에 참석해 이같이 연설했다.

 

김 위원장은 결코 평화 시기라고 할 수 없는 적들과의 치열한 대결의 연속이었다. 우리의 발전을 억제하고 우리 국가를 침탈하려는 제국주의의 위협과 압박은 각일각 가증됐다“1950년대의 전쟁과 같은 고통과 아픔이 다시는 되풀이되지 않도록 전쟁 그 자체를 방지하고 억제할 수 있는 절대적 힘을 가져야 했기에 남들 같으면 백번도 더 쓰러지고 주저앉았을 험로 역경을 뚫고 온갖 압박과 도전들을 강인하게 이겨내며 우리는 핵 보유국으로 자기발전의 길을 걸어왔다고 언급했다.

 

그러면서 김 위원장은 이제는 비로소 제국주의 반동들과 적대 세력들의 그 어떤 형태의 고강도 압박과 군사적 위협 공갈에도 끄떡없이 우리 스스로를 믿음직하게 지킬 수 있게 변했다전쟁은 넘볼 수 있는 상대와만 할 수 있는 무력충돌이다. 이제는 그 누구도 우리를 넘보지 못한다. 넘보지 못하게 할 것이고 넘본다면 그 대가를 단단히 치르게 할 것이라고 말해 자신감을 피력했다.

 

또 그는 누구도 범접할 수 없는 최강의 국방력을 다지는 길에서 순간도 멈춰서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 그러면서 혈맹으로 일컫는 중국에 대해서는 이 기회에 우리 인민의 혁명전쟁을 피로써 도와주며 전투적 우의의 참다운 모범을 보여준 중국인민지원군 열사들과 노병들에게도 숭고한 경의를 표한다고 말하기도 했다.

 

 

이어 김 위원장은 6·25전쟁 이후 70년에 대해 "결코 평화 시기라고 할 수 없는 적들과의 치열한 대결의 연속이었다""우리의 발전을 억제하고 우리 국가를 침탈하려는 제국주의의 위협과 압박은 각일각 가증되었다"고 말해 엄중한 정세인식을 드러냈다.

 

특히 "우리는 총이 부족해 남해를 지척에 둔 락동강가에 전우들을 묻고 피눈물을 삼키며 돌아서야 했던 동지들의 한을 잊은 적이 없다"며 군사적 억제력 강화 의지를 재차 강조했다.

 

그러면서 김 위원장은 "이제는 비로소 제국주의 반동들과 적대 세력들의 그 어떤 형태의 고강도 압박과 군사적 위협 공갈에도 끄떡없이 우리 스스로를 믿음직하게 지킬 수 있게 변했다"고 말했다.

 

김 위원장은 "전쟁은 넘볼 수 있는 상대와만 할 수 있는 무력충돌이다. 이제는 그 누구도 우리를 넘보지 못한다""넘보지 못하게 할 것이고 넘본다면 그 대가를 단단히 치르게 할 것"이라고 말해 자신감을 피력했다. 그러면서 "누구도 범접할 수 없는 최강의 국방력을 다지는 길에서 순간도 멈춰서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

 

"오늘의 조건과 환경이 어렵다고 하지만 전쟁시기에 비하면 아무것도 아니다"라며 젊은 세대가 전쟁노병을 본받아 위기를 극복하자고 독려했다. 김정은 위원장이 집권 이후 5차례 열린 노병대회에 참석해 직접 연설까지 한 것은 2015년에 이어 두 번째다.

 

올해는 미국을 중심으로 한 국제사회의 대북제재 속에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 19) 사태까지 겹치면서 경제난과 민심이반이 심화하면서 체제 고수와 내부 결속을 다지는 전환점으로 삼기 위해 참석한 것으로 보인다.

 

이번 노병대회에서는 김 위원장의 여동생인 김여정 노동당 제1부부장을 비롯해 최룡해·박봉주·리병철·리일환·최휘·최부일·리만건·오수용·조용원·김영환·박정남·리히용·김정호 등 주요 당 간부와 박정천 군 총참모장, 김정관 인민무력상 등도 자리를 함께했다.

 

최영림·양형섭·태종수·리명수·리용무·오극렬·김시학 등 참전 경험이 있는 당 및 군 간부들도 주석단에 자리했다. 전쟁노병들은 대회 이후 내각이 인민문화궁전과 옥류관 등에서 마련한 연회에 참석했다.

 

최룡해·박봉주 부위원장과 김재룡 총리는 연회를 함께하며 노병들을 위로했고, "새 세대들에게 1950년대의 조국수호정신과 혁명보위정신을 굳건히 새겨줄 것을 바라마지 않는다"고 말했다.

 

북한은 정전협정으로 휴전이 된 7·27'전승절'(조국해방전쟁 승리의 날)로 기념하며, 40주년인 1993년을 시작으로 2012, 2013, 2015, 2018년 노병대회를 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