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 8. 13. 11:12ㆍ생활 · [ 물가 ]
치킨, “6990원에 팔아도” 남는다…고물가 시대 대형마트 반값 치킨 인기 폭발
┃2022년판 ‘통큰치킨’ 마트 치킨은 죄가 없다 / 대형마트 반값 치킨 인기 폭발 / 프랜차이즈 치킨 높은 가격에 소비자 불만 쌓여 / ‘6990원에 팔아도 남는다’에 자영업자 반발 여전 / 치킨집, 마트 중 선택할 권리는 소비자에게 있어
대형마트 치킨이 2010년 ‘통큰치킨’ 등장 이후 12년만에 다시 뜨거운 이슈가 되고 있다. 대형 치킨 프랜차이즈의 치킨값 인상을 부담스러워하며 치킨 불매 운동까지 거론하던 차에 등장한 대형마트의 1만원도 안하는 치킨에 소비자들은 좋은 반응이다.
그러나 모두가 환영하는 것은 아니다. 프랜차이즈 업체와 치킨집 윤영자들은 이번에도 어김없이 반발하고 있다. 하지만 홈플러스의 6990원짜리 ‘당당치킨’이 불러온 이번 이슈는 판매가 중단된 통큰치킨 시절과는 사뭇 다르게 흘러가고 있다.
◈ 한 마리 5000원도 안해…불붙은 마트치킨 고물가와 맞물려 입소문
경쟁홈플러스가 당당치킨을 내놓은 것은 지난 6월 30일로 고물가와 맞물려 출시 직후 곧장 입소문을 탔다. ‘당일제조·당일판매’라는 뜻을 가진 당당치킨은 상품 기획 자체가 홈플러스의 ‘물가안정 프로젝트’의 일환이다.
초복에 진행한 당당치킨 5000마리 선착순 4990원 행사에는 전국 대부분의 매장에서 줄서기 현상이 빚어지면서 준비 물량이 1시간 이내에 완판됐다. 이날 당당치킨은 행사 물량 외에도 정상가에 1만2200마리가 추가로 팔려 하루 만에 1만7200마리 판매를 기록했다.
당당치킨의 흥행이 화제가 되면서 인기는 더욱 높아지면서 홈플러스는 지난 7월 28일부터 8월 3일까지 일주일간 홈플러스 온라인 ‘치킨’ 키워드 검색량이 전월 동기 대비 1036% 증가했다.
출시 이후 이달 10일까지 32만 마리가 넘게 팔린 당당치킨은, 1분마다 약 5마리가 팔린다는 계산이 나온다. 홈플러스는 당당치킨의 인기에 힘입어 ‘두 마리 후라이드 치킨’도 17일까지 9900원에 할인 판매한다.
롯데마트는 한마리 반 분량인 대표 치킨 메뉴 ‘New 한통가아아득 치킨’를 11일부터 일주일 간 8800원으로 할인판매합니다. 원래 가격은 1만5800원이지만 행사카드 구매시 이 기간 동안 7000원 할인 혜택을 주고 있다. 오프라인 매장에서 인당 2통 제한도 있다. 이마트도 지난달 한통에 9980원인 ‘5분치킨’을 출시했다.
이번 마트 치킨 열풍은 12년 전 롯데마트의 ‘통큰치킨’ 논란을 떠올리게 한다. 당시 롯데마트는 5000원짜리 통큰치킨을 선보였지만 골목상권을 침해한다는 비판에 직면하면서 얼마 버티지 못하고 판매를 중단했다. 당시 자영업자는 물론 대기업 계열 마트의 치킨 판매 행보에 그리 우호적이지 않은 소비자들도 많았다.
그러나 지금 소비자들은 1만원 이하인 마트 치킨에 환호하고 있다. 프랜차이즈 치킨의 가격이 지속적으로 올라 한마리에 2만원대가 되면서 부담스러워진지 오래다. 특히 올해에는 인플레이션으로 밥상 및 외식 물가가 급등하면서 알뜰 소비를 하려는 이들이 늘어나던 차에 마트표 반값 치킨은 가려운 곳을 긁어준 격이 됐다.
◈ 전통시장, 혁신방안을 모색해야지 한쪽을 막는다고 해결된 문제가 아니다.
하지만 자영업자들의 반발은 여전하고 있는 가운데 한 유튜브 채널에는 홈플러스 당당치킨 개발자의 인터뷰 영상이 공개됐다. 그는 “6990원에 팔아도 남는다”고 말했다. 대형마트의 소싱 능력으로 재료를 대량 구매하고 유통구조를 단순화했기 때문에 가능한 일입니다. 미끼상품이긴 하지만 적어도 손해를 보고 파는 품목은 아니라고 했다.
마트 입장에서는 치킨을 사러 온 고객이 다른 물건도 쇼핑하기 때문에 더욱 이득입니다. 이에 대해 치킨집 사장 A씨는 “인건비, 임대료, 전기세 등은 안 드냐. 누구한텐 목숨이 걸린 생업”이라고 반발하는 글을 온라인에 올리기도 했다.
마트표 반값치킨에 대한 갑론을박은 여전히 진행 중이다. 과거와 달라진 점은 소비자의 목소리가 커졌다는 것이다. 소비자가 프랜차이즈 치킨이 비싸더라도 맛있고 가치가 있다면 먹으면 되고, 알뜰구매를 원하는 사람은 마트 치킨을 먹으면 된다는 것 이에 소비자가 선택할 문제를 두고 한쪽을 비난하는 것은 불필요하다는 입장을 보이고 있다.
이는 최근 불거진 대형마트 의무휴업 폐지를 둘러싼 논쟁에서도 유사하게 보이는 현상이다.전통·골목 상권을 살리기 위해 대형마트 문을 닫으라고 하는 것 자체가 효과도 없을 뿐만 아니라 소비자의 권리를 침해한다는 시각도 있다.
전통시장은 다른 혁신방안을 모색해서 생존해야지 한쪽을 막는다고 해결된 문제가 아니라는 비판도 있다. 치킨 역시 프랜차이즈 치킨 가격 구조의 문제를 고칠 생각은 안하고 저렴한 마트 치킨만 반대하는 것은 안된다.
이번 논의를 촉발시킨 홈플러스 당당치킨은 오는 15일 말복을 맞아 5000마리를 5990원에 1인당 1마리 한정판매 한다. 다른 대형마트도 치킨 할인행사를 진행 한다. 아마 이날도 마트에서는 치킨을 사기 위해 길게 늘어선 고객들의 줄을 쉽게 볼 수 있을 듯 하다.
'생활 · [ 물가 ]'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우리 농산물, 1000원에 사면 475원이 유통비…정부, 온라인 거래소로 유통비 6% 절감 목표 (0) | 2023.01.11 |
---|---|
1년 내내 즐길 수 있는 과일 사과 대신…겨울과 봄철 시즌 과일인 딸기가 매출 1위로 (0) | 2023.01.08 |
성수품 가격 채소류, 식용유, 밀가루 등 가공식품 가격도 고공행진 (0) | 2022.08.07 |
미쳤다 물가 경유 46%, 돼지고기 21%, 감자 28% 올랐다…尹 “선거 승리보다 경제위기” (0) | 2022.06.06 |
4월 소비자물가 4.8% "오름세 지속될 듯"…홍남기 "물가 상승 압력" 당분간 지속 (0) | 2022.05.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