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한국 스모그 중국서 갔다는 근거 충분한가”

2019. 3. 7. 08:43자연 · [ 환경 ]

중국 한국 스모그 중국서 갔다는 근거 충분한가

 

 

문 대통령 ·중 협의에 입장 밝혀

 

서울 최악일 때 베이징은 안 높아

 

중국 정부가 6일 한국 내 스모그 원인에 대한 과학적 태도를 강조했다.

 

루캉(陸慷)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이날 정례브리핑에서 문재인 대통령이 중국발 미세먼지 감축을 위한 한·중 협의를 지시한 데 대한 중국 정부의 입장을 묻는 중앙일보의 질문에 한국의 스모그가 중국에서 왔다는 데 한국 방면에서 충분한 근거가 있는지 모르겠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최근 이틀간 서울의 초미세먼지가 147/로 검측됐다는 보도에 주목한다. 베이징은 이틀간 그만큼 높지 않았다고 말했다. 한국 스모그의 중국 관련도를 낮게 본다는 의미다. 중국은 그간 한국 내 미세먼지의 가장 큰 원인은 한국에 있다는 태도를 취해 왔으며, 이날 답변 역시 그 연장선으로 풀이된다.

 

루 대변인은 스모그의 원인에 대해 많은 이가 최근 몇 년간 많은 나라에서 모두 주목했다모두 이 원인은 무척 복잡하다고 여기고 있다고 주장했다. 이어 스모그 원인 및 어떻게 대처할 것인지에 대해선 과학적 태도가 필요하다고 생각한다고 밝혔다. 루 대변인은 만일 모두 협력을 할 수 있다면 당연히 무척 좋은 일이라면서 구체적 협력은 중국 환경보호 당국에 알아보길 바란다고 덧붙였다.




 

앞서 문 대통령은 중국에서 오는 미세먼지의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 중국 정부와 협의해 긴급대책을 마련하라고 지시했다고 김의겸 청와대 대변인이 전했다.

 

이날 중국공산당 기관지 인민일보 자매지인 환구시보(環球時報)는 웹사이트 기사에서 미세먼지 방지 마스크를 쓰고 다니는 서울 시민과 뿌연 광화문 광장을 보도하며 미세먼지가 한국을 완전히 뒤덮었다고 전했다.

 

반관영 중국신문망(中國新聞網)도 이날 한국 매체와 환경 당국 등을 인용해 서울에 연속 닷새째(5일 기준) 비상저감조치가 내려졌다고 전했다.

 

중국에선 한국의 미세먼지에 대한 책임론이 중국으로 향할까 주시하는 기류도 관측된다. 이 같은 중국의 속내는 중국 책임론에서 벗어나려는 중국 환경 전문가와의 인터뷰 등을 통해 드러난다.

 

차이파허(柴發合) 중국환경과학원 대기영역 수석전문가는 지난 1중국의 대기오염이 한국에 얼마나 영향을 미치는가라는 중국환경보 질문에 전체적으로 15% 이하라고 답했다. 중국의 영향을 70% 전후로 보는 한국의 견해를 정면으로 반박했다. 그는 중국이 절대적인 영향을 미친다면 중국의 중점 지역 공기 질이 40% 이상 개선됐는데도 불구하고 서울의 초미세먼지 농도가 오히려 약간 상승한 걸 어떻게 설명할 수 있는가라고 반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