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은경 "일상회복 2단계 전환 어려울수도…화이자 부스터샷 접종 후 사망신고 1건

2021. 11. 12. 03:31재난 · [ 방역 ]

정은경 "일상회복 2단계 전환 어려울수도화이자 부스터샷 접종 후 사망신고 1

 

 

부스터샷 접종 후 사망사례 첫 신고 인과성은 미확인 / 화이자 부스터샷 접종 후 사망신고 1건 국내 첫 사례 / 서울 병상 사용률 75% 임박 / 정부 "비상계획 논의할 상황 아냐" / 중증환자 병상 사용률 서울 74.8%·경기 70.7%·인천 72.2% / 전국적으로는 41.7%'여유' "수도권만 비상계획 검토 안 해" 방역조치 강화 가능" / 코로나19 위중증 환자 증가에 "예의주시 진행상황 보면서 검토" / 중증환자 병상 사용률은 빠른 속도로 높아지고 있다. / "50대 이상 부스터샷 접종간격 6개월5개월 단축 검토 중"

 

질병관리청 코로나19 예방접종대응추진단은 이날 80세 이상의 여성이 화이자 백신으로 추가접종한 사례라면서 이외 정보는 추가로 밝힐 수 없다고 말했다. 고재영 질병청 대변인은 이날 브리핑에서 "(이상반응 의심사례) 신고 현황에 대해서는 신속·투명하게 안내하기 위해 주기적으로 보도자료에 포함하고 있으나 나머지 신고 내용에 대해서는 지자체 신속대응팀의 조사를 거치고 피해조사반의 심의를 거쳐 말씀드릴 수 있다"고 설명했다. 추가접종은 백신을 권고 횟수만큼 맞은 뒤 예방효과를 보강하기 위해 일정 시점 후에 다시 백신을 접종하는 것이다. 현재 국내에서는 얀센 접종자, 코로나19 치료병원 종사자, 60세 이상 고령층 및 고위험군 등에 대한 추가 접종이 진행되고 있다.

 

국내에서 코로나19 백신 추가접종(부스터샷)을 한 뒤 사망한 것으로 의심된다고 신고한 사례가 처음 보고됐다. 이날 질병관리청 코로나19 예방접종대응추진단은 이상반응 신고 현황 가운데 추가접종 뒤 사망한 것으로 신고한 사례가 1건 접수됐다고 밝혔다. 그러나 백신 접종과 사망 간 인과성 여부는 현재 확인되지 않았다.

 

11일 정은경 질병관리청장이 단계적 일상회복 2단계로의 전환이 어려울 수 있다고 전망했다.

 

정 청장은 이날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전체회의에 출석해 '지금 (확진자) 증가세면 2단계로 무난하게 가기 어려울 수 있냐'는 더불어민주당 신현영 의원의 질문에 "그렇다. 현재 상황이 지속된다면 1단계를 지속하거나 방역 조치를 강화할 수 있다"고 답했다.

 

정부는 당초 이달 1일부터 단계적 일상회복 1단계를 시작하면서 총 6(4주 시행+2주 평가) 2단계 전환 여부를 결정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정 청장의 이런 언급은 단계적 일상회복 전환 후 10여일만에 신규 확진자, 특히 방역상 중요 지표인 위중증 환자가 급증하는 흐름을 보이면서 정부가 당초 예정한 시점에 2단계 전환이 어려울 수 있다는 점을 시사한 것으로 풀이된다.

 

정 청장은 "현재 위중증 환자가 증가하고 있어서 예의주시하고 있고, 아직 (일상회복 1단계를 시행한 지) 10일 정도 돼서 진행 상황을 보면서 단계 전환이나 조치에 대한 부분들은 검토하겠다"고 했다.

 

정부는 코로나19 백신 접종률이 70%를 넘어선 지난달 말부터 확진자 중심이 아닌 위중증·사망자 관리 중심의 방역체계 전환을 준비한 뒤 이달 1일부터 단계적 일상회복, '위드 코로나' 1단계 시행에 들어갔다.

 

이에 따라 식당, 카페 등 생업시설의 영업시간 제한이 없어지고 사적모임 제한도 다소 풀리는 등 한층 완화된 방역 조치가 적용되고 있다.

 

다만 정부는 애초 일상회복 1단계를 우선 4주간 시행한 뒤 이후 2주 평가기간을 거쳐 다음 2단계로 넘어갈지 판단하겠다고 밝혔었다. 이 계획대로라면 일상회복 1단계 시행 시점으로부터 총 6주 뒤인 1213일께 2단계로 넘어가게 된다.

 

하지만 최근 신규 확진자는 2천명대 중반까지 증가했고 특히 위중증 환자 수가 급증하는 등 불안한 조짐을 보이고 있다. 이날도 신규 확진자는 2520명으로 전날보다 95명 증가했으며, 위중증 환자 수는 473명으로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

 

손영래 중앙사고수습본부 사회전략반장도 이날 브리핑에서 "단계적 일상회복 개편 이후 유행 규모와 위중증 환자, 병상 가동률의 증가는 예상한 상황"이라며 다만 "아직은 일상회복 조치를 조정할 정도의 상황은 아니라고 보고 좀더 추이를 지켜보겠다는 입장"이라고 밝혔다.

 

정 청장은 이날 국회 답변에서 50대 이상 등 추가접종(부스터샷) 대상자의 접종 간격을 단축하는 것도 검토하고 있다고 밝혔다.

 

그는 "현재 요양병원 시설 종사자 등은 5개월 간격으로 추가 접종을 하는데, 2단계 추가 접종 대상자에 대한 접종 간격 단축에 대해서도 전문가들이 동의하고 있다""이번 주와 다음 주 예방접종전문위원회에서 검토해 조정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단축 기간에 대해서는 "한 달 정도 더 단축하는 것을 검토하고 있다"고 답해, 접종 간격이 현행 6개월에서 5개월로 조정될 가능성을 시사했다.

 

국내에서 신종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진자와 위중증 환자가 급증하면서 추가 병상 확보 필요성이 커지고 있는 가운데 정부가 의료여력에 큰 문제는 없다며 비상계획(서킷 브레이커)을 논의할 상황은 아니라고 밝혔다.

 

손영래 중앙사고수습본부 사회전략반장은 11일 브리핑에서 "벌써 비상계획을 논의할 상황은 아니다"라며 "일각에서 비상계획 필요성을 제기하는 부분이 있는데 아직은 이르다"라고 강조했다.

 

손 반장은 "단계적 일상회복 체제에서는 확진자와 위중증 환자 증가는 필연적"이라며 "현재 이 정도 추이라면 우리 의료체계에서는 감당 가능해서 지켜볼 필요 있다는 판단"이라고 말했다.

 

손 반장의 이런 발언은 지난 1일 시작한 단계적 일상회복 계획 추진을 잠시 중단하는 비상계획 발동 가능성도 제기되는 가운데 나온 것이다.

 

지난 1일부터 단계적 일상회복(위드 코로나) 계획을 시행한 정부는 상황이 위험하다고 판단되면 일상회복 추진을 잠시 중단하는 등의 비상계획을 발동한다는 방침을 갖고 있다.

 

정부는 '감염병 전담병원의 병상 가동률이 7일 이동평균 60% 이상일 때 경고를 내리고, 중환자실 병상 가동률이 75% 이상일 때 비상계획을 실시할 수 있다'는 예시를 제시한 바 있다.

 

 

정부는 현재 전국적으로 중증환자 병상이 41.7%의 여유를 보이고 있고, 감염병전담병원도 전국적으로 41% 여유가 있다는 점 등을 들어 "현재까지 의료여력은 안정적으로 유지하는 추이"라고 판단하고 있다.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에 따르면 전날 오후 5시 기준으로 수도권 중증환자 전담 병상은 72.9%의 사용률을 기록 중이다. 전국 중증환자 전담 병상 사용률이 58.3%인 것과 비교해 여유가 없는 상황이다.

 

국내발생 확진자의 80%가량이 수도권에서 발생하는 상황에서 수도권 의료체제에 부담이 가중되고 있다.

 

특히 서울의 병상 사용률이 75%에 임박했다. 345개 병상 중 258병상이 차 있어 74.8%의 사용률을 기록 중이다. 남은 병상이 87개뿐이다.

 

경기는 263병상 중 70.7%가 사용되고 있어 77개 병상만 남아 있다. 인천은 79개 병상이 확보된 가운데 72.2%가 가동돼 남은 병상이 22개에 불과하다.

 

전날 전국 중증환자 전담병상 사용률은 57.2%였고 수도권은 서울 71.3%, 인천 73.4%, 경기 68.4%를 각각 기록했다. 서울의 경우 하루 사이에 12병상이 추가로 차면서 사용률이 3.5%p 증가했다.

 

손 반장은 수도권에만 비상계획을 발동할 가능성에 대해 "비상계획을 부분적으로 시행할 생각은 없다"고 일축하며 "아직은 일상회복 조치를 조정할 정도의 상황은 아니라고 보고 좀더 추이를 지켜보겠다는 입장"이라고 밝혔다.

 

그는 "단계적 일상회복 개편 이후 유행 규모와 위중증 환자, 병상 가동률의 증가는 예상한 상황이기 때문에 벌써 방역조치 강화 등 조정을 하기보다는 증가 속도를 보면서 의료체계 상황을 판단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중증환자 병상뿐 아니라 감염병전담병원과 준중환자(중증에서 상태가 호전되거나 중증으로 악화할 가능성이 높은 환자) 병상도 여유롭지 않다.

 

전날 오후 5시 기준 전국 감염병전담병원에는 181개 병상이 확보돼 있고, 58.9%가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서울과 경기는 감염병전담병원 병상 사용률이 70%를 훌쩍 넘었다. 서울은 2160개 병상 중 74.3%(1604), 경기는 1867개 병상 중 78.7%(1470)가 사용되고 있다.

 

인천은 준중환자 병상이 한계치에 도달한 상태다. 23개 중 22개가 사용 중이어서 1명의 준중환자만 더 받을 수 있다. 서울은 81개 중 56.8%(46), 경기는 172개 중 81.4%(140)가 차 있다.

 

정부는 이런 상황을 예상해 지난 5일 수도권 의료기관에 중증환자 전담 병상과 준중환자 병상을 추가로 확보하는 행정명령을 내렸다.

 

병상 확보에 최소 4주가 걸리는데, 추가 병상이 중환자·준중환자 증가 속도에 맞춰 준비될 수 있을지가 관건이다.

 

지난 5일 이후 코로나19 위중증 환자 수는 일별로 382411405409425460473명으로 가파른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473명은 국내 코로나19 확진자 발생 이후 역대 최다 수치다.

 

정부는 병상과 의료 인력, 장비 등을 고려해 위중증 환자 500명 이내로는 의료대응이 원활할 것으로 보고 있다.

 

손 반장은 "저희가 감당할 수 있는 수준은 500명보다 훨씬 더 크다고 본다""위중증 환자가 500명 이내이면 대응이 원활하다고 밝혔던 것은 병실 확충 행정명령이 나오기 전의 이야기"라고 밝혔다.

 

그는 "현재 위중증 환자 숫자보다 많은 인원이 중환자 병실에 들어가는 경향이 있다""중등 정도인 일부 환자가 중환자 병실에 입원해 실제 위중증 환자의 1.21.3배가 중환자 병상에 들어가 있다고 판단한다"고 말했다.

 

그는 행정명령으로 병상을 확충하면, 상태가 호전된 중환자들을 준중환자실로 보내는 등 효율화 작업도 원활해질 것이라며 "향후 위중증 증가 속도나 의료여력 감소 속도가 중요하다고 보고 이번 주와 다음 주 상황을 지쳐보고 있다"고 강조했다.

 

현재 의료기관이 아닌 집에서 치료를 받는 재택치료자는 이날 0시 기준으로 서울 1917, 경기 1717명 등 3994명으로 4천명에 육박했다.

 

한편 질병청은 앞서 고등학교 3학년 학생이 코로나19 백신 접종 후 75일만에 사망했다고 신고한 사례에 대해서는 이번 주 피해조사반 회의에서 심의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고 대변인은 이 사례에 대해 "지난주 금요일에 시도 신속대응팀이 검토를 했고, 이번 주 해당 전문가 자문단 회의와 피해조사반 회의를 실시할 예정"이라며 "공개할 수 있는 부분이 있다면 말씀드리고, 개인 의료정보라서 공개할 수 없는 부분이라면 이에 대해서도 투명하게 안내할 것"이라고 말했다.

 

다만 그는 검토가 늦어진게 아니냐는 질의에는 "신고 순서대로 지자체에서 조사를 한다. 늦어진 부분은 아니다"라고 답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