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 1. 5. 09:10ㆍ국내 · [ 종합 ]
JTBC는 2017년 44%로 정점을 찍은 뒤 최근 7%로 떨어져 TV조선과 MBC에도 뒤졌다.
❙ 2022년 1월 현재 KBS와 YTN이 즐겨보는 뉴스 채널 1위 / 조선일보 월 구독료를 14년 만에 1만5천원에서 2만원으로 인상
한국언론진흥재단의 조사 결과 신문 열독률은 조선일보 3.7%, 중앙일보 2.5%, 동아일보 2.0%, 매일경제신문 1.0%, 농민신문 0.7%, 한겨레신문 0.6% 순이다. 중앙일보·경향신문은 올해 디지털을 통한 유료화에 나선다. |
한국갤럽 선호도 조사 ▶ KBS와 YTN은 즐겨보는 뉴스 채널 1위가 됐다. 그간 즐겨보는 뉴스 채널이었던 JTBC는 2017년 44%로 정점을 찍은 뒤 최근 7%로 떨어져 TV조선과 MBC에도 뒤졌다.
조선일보가 한달 구독료를 14년 만에 1만5천원에서 2만원으로 인상했다.
한국언론진흥재단의 조사 결에 따르면 신문 열독률은 조선일보 3.7%, 중앙일보 2.5%, 동아일보 2.0%, 매일경제신문 1.0%, 농민신문 0.7%, 한겨레신문 0.6% 순으로 나타났다.
중앙일보·경향신문은 올해 디지털을 통한 유료화에 나서겠다고 밝혔다.
한국언론진흥재단이 내놓은 신문산업 실태조사 결과 2020년 종이신문과 인터넷신문이 5078개로 전년보다 20% 늘었다. 신문 기자 숫자도 2만9243명으로 전년 대비 20% 늘었다.
글로벌 OTT가 국내시장에서 각축전을 벌이고 있는 상황에서 민주당은 국내 방송·미디어가 경쟁력을 갖출 수 있도록 정책 비전을 만들기 위한 미디어·ICT특위를 발족했다.
경제 유튜브 삼프로TV가 진행한 이재명, 윤석열 대선 후보의 인터뷰가 1백만뷰를 훌쩍 넘기면서 기성 언론을 현재 위협하고 있다.
넷플릭스, 디즈니 등 글로벌 콘텐츠 시장 개방에 따라 공중파와 종편의 지분 소유를 제한하는 대기업의 기준을 자산 10조원에서 GDP의 0.015%인 29조원으로 완화하자는 법인이 발의됐다.
서울신문 대주주가 된 호반건설이 서울신문 뉴스와 광고에 자주 등장하고 있고 지난해 기사형 광고로 포털에서 퇴출됐던 연합뉴스가 포털을 상대로 낸 가처분 신청을 법원이 받아들여지면서 연합뉴스는 포털에 다시 복귀했다.
더불어민주당과 국민의힘은 그동안 뜨거운 논란거리였던 언론보도 징벌적 손배 법안 처리를 대선 이후로 연기하기로 했다.
언론보도 징벌적 손해배상제 도입에 반대하며 언론단체들이 대안으로 제시한 통합형 언론자율규제기구도 현재 얼개가 나왔다.
KBS 수신료 2500원→3800원 인상안이 현재 국회로 넘어갔다.
'국내 · [ 종합 ]'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방송 3사 4당 “대선 후보들 3일 첫 TV 토론”…李尹 첫 토론서 대장동 격돌 (0) | 2022.02.04 |
---|---|
【이슈】 선관위, 자가격리자 "신청인 대상 6시 이후 사전투표소 설치" 추진 (0) | 2022.02.01 |
“리틀” 이부진 ‘세계서 가장 영향력 있는 여성’ 89위…미국 부통령 카멀라 해리스가 2위 (0) | 2021.12.11 |
여야 대선후보들 한자리에 모일 것으로 기대…윤석열·안철수·심상정만 참석 (0) | 2021.11.10 |
대만, 중국 전면침공 빌미 줄라 "선제공격 안 해“…중국 대만 공중압박 소강 국면 (0) | 2021.10.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