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주 · [ 과학 ](104)
-
【달/탐사】 5300억 규모 달 착륙선 내년부터 착륙선 개발 착수…위성통신 R&D도 예타
【달/탐사】 5300억 규모 달 착륙선 내년부터 착륙선 개발 착수…위성통신 R&D도 예타 ┃내년부터 착륙선 개발 2032년 발사 / 국산 로켓으로 2032년 '달 착륙선' 쏜다 "5300억 R&D 예타 통과" / 탑재체 개발은 통과 못해 예산 1000억↓ / 장애물 탐지·회피, 자율주행하는 '1.8톤급 착륙선' 개발 목표 / 2032년 독자 달 착륙선 보낸다 / 2031년 검증선도 발사 / 과학기술 임무 탑재체 내년 초 공모 예정 예산 5300억 원을 들여 달 착륙선을 개발하는 정부 사업이 예비타당성 조사를 통과해 본격 추진된다. 지난해 예타 대상으로 선정된 지 1년 만에 나온 결과다. 1.8톤(t)급 달 착륙선은 2032년 누리호 후속로켓인 차세대발사체(KSLV-Ⅲ)로 발사될 예정이다. 과학기술정보통신..
2023.10.31 -
【IT/세계】 확정된 미국 반도체 '가드레일'…중국내 한국엔 안도·아쉬움 교차
【IT/세계】 확정된 미국 반도체 '가드레일'…중국내 한국엔 안도·아쉬움 교차 ┃미국 정부가 한국에 배증 요구해온 중국내 한국 기업들 / 생산능력 확장범위 원안대로 5% 생산능력확대 / 거래 상한선 '10만불' 사라진 것은 한국기업 부담 덜어 / 중국 시안의 삼성전자 메모리반도체 공장 미국 정부가 22일(현지시간) 발표한 반도체법(CHIPS Act) 가드레일(안전장치) 규정은 중국에 대규모 반도체 생산 시설을 가진 한국 기업들에 절반의 아쉬움과 절반의 안도감을 안긴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가드레일은 미국 반도체법에 따라 미국으로부터 보조금을 받는 기업에 대해 미국의 전략경쟁 상대인 중국에서 반도체 생산 능력을 확장하는 데 제한을 두는 내용을 담고 있다. 미국 정부로부터 보조금을 받는 기업은 향후 중국내 ..
2023.09.23 -
【포커스】 "사실이면 노벨상감" 한국 초전도체 ‘LK-99’ 개발…미국 연구소 가능성 인정
【포커스】 "사실이면 노벨상감" 한국 초전도체 ‘LK-99’ 개발…미국 연구소 가능성 인정 ┃한국 개발 상온 초전도체 ‘LK-99’ / 미국 연구소서 가능성 인정 / "사실이면 노벨상감" 한, 초전도체 개발 미·중 서도 "어? 진짜 되네" / 과학계 갑론을박 꿈의 물질 '상온 초전도체' 현실로? / 국내 중소업체 상온 초전도체 개발 논문 발표 / 학계 "상용화 시 10년 이상 성능 검증도 해야" ‘꿈의 물질’로 불리는 초전도체 논쟁이 뜨겁다. 전기저항이 사라지고, 물건을 공중에 띄울 수 있다는 초전도현상을 상온(常溫)ㆍ상압(常壓)에서 구현하는 물질을 우리나라에서 개발했다는 소식 때문이다. ‘사실이라면 노벨물리학상’이라는 말이 나오지만, 믿기 힘들다는 반응도 적지않다. 지금까지 초전도 현상은 극저온이나 초..
2023.08.03 -
누리호, 발사 이틀 탑재위성 8기 중 6기 정상 교신…2기 미수신 현재 지속 교신 중
누리호, 발사 이틀 탑재위성 8기 중 6기 정상 교신…2기 미수신 현재 지속 교신 중 ┃누리호, 첫 한국형 발사체 '누리호' 발사 우주로 첫 걸음 / 누리호 발사자동운용 시작 발사 1분 전 카운트다운 돌입 / 누리호, 주탑재위성 차세대 소형위성 6기 분리 정상 교신 성공 / 오늘은 열매 맺길" 관람객들 부푼 기대감 / 누리호, 중단 사태 시련 딛고 3차 발사 성공 / 실용위성 7기, 여명‧황혼 궤도 안착 / 도요샛 1기만 추가 확인 / 오는 26일 오전 실용위선과 교신 결과 발표 / 정부 "누리호 3차 발사 성공" 주탑재위성 신호수신 성공 / 이종호 과기정통 "성공적으로 완료됐음을 국민께 보고드린다" 한국형 발사체 누리호 3차 발사의 성공 이후 탑재 위성 8기 가운데 총 6기의 위성이 정상 운용되고 있는..
2023.05.27 -
【속보】 누리호 오후 6시 24분 발사…제어프로그램 수정 "안정적 작동 최종 확인"
【속보】 누리호 오후 6시 24분 발사…제어프로그램 수정 "안정적 작동 최종 확인"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누리호 오늘 6시 24분 다시 발사 / 애초 발사예정시각서 하루 연기 제어프로그램 수정 / 새벽 5시에 반복시험 6회 진행 "다른 문제 없어" 누리호 오후 6시 24분 발사 "안정적 작동 최종 확인" 애초 발사예정시각서 하루 연기…제어프로그램 수정 새벽 5시에 반복시험 6회 진행"다른 문제 없어"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은 이날 오전 11시 발사관리위원회를 열고 발사 준비 자동 제어 시스템과 발사대 장비 제어시스템 점검 및 조치 결과를 보고받고 이같이 결정했다고 밝혔다. 발사 예정시간을 2시간여 남기고 발사가 중단됐던 한국형발사체 누리호(KSLV-II)가 25일 문제를 해결하고 애초 예정..
2023.05.25 -
누리호 발사 D-7 123단 합체 완료…국내 민간 우주산업 "현재까지 이상無"
누리호 발사 D-7 123단 합체 완료…국내 민간 우주산업 "현재까지 이상無" ┃누리호 발사 D-7 국내 민간 우주산업이 쏘아 올린다 / 고정환 단장 "일정 맞춰 진행 / 이번 주말까지 작업하면 준비 끝" / 1·2·3단 결합, 단 분리 위한 화약장착 완료 누리호가 3차 발사일을 일주일 남긴 17일 1, 2, 3단 조립을 완료, 우주로 날아오르기 위한 완전한 형태를 갖췄다. 한국항공우주연구원에 따르면 연구진과 작업자들은 지난주 누리호 상단부인 3단에 위성을 장착하고 3단 조립을 완료한 데 이어, 이날 1, 2단과 3단을 체결하는 작업도 모두 마무리했다. 세 번째 도전을 하게 되는 누리호는 발사(5월 24일) 한 주를 앞두고 막바지 준비에 한창이다. 이번 3차 발사를 통해 국내 대학과 연구기관, 기업체가 ..
2023.05.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