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 드라마, “터질게 터졌다” 배우 출연료 회당 10억…OTT들 일본으로 발길 돌려.

2024. 6. 16. 05:02연예 · [ 뉴스 ]

K 드라마, “터질게 터졌다배우 출연료 회당 10OTT들 일본으로 발길 돌려.

 

한국 배우들 출연료 회당 7~10 출연료 너무 심하다. / 드라마 눈물의 여왕제작비 회당 35억원 총 560억원 들어가 / “비싼 출연료와 제작비 때문에 글로벌 OTT들 일본으로 발길 돌리고 있다” / 티빙, 웨이브 등 토종 OTT들 드라마에 대한 투자를 크게 줄였다.

 

한국에서 그동안 적은 비용으로 양질의 콘텐츠를 생산해 높은 수익성을 기대했지만, 최근엔 비싼 출연료와 제작비 때문에 글로벌 OTT들이 일본으로 발길을 돌리고 있다.

 

일본에서는 한국의 반값으로 드라마를 만들수 있다” (OTT관계자)

 

배우들의 비싸진 몸값과 제작비에 넷플릭스 등 온라인동영상서비스(OTT) 업체들의 상단수가 이미 일본으로 방향을 잡고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그간 한국에서 적은 비용으로 양질의 콘텐츠를 생산해 높은 수익성을 기대했지만, 최근엔 치솟는 출연료와 인건비로 한국과 가까운 일본으로 OTT들이 눈을 돌리고 있다.

 

일본에선 국내 제작비의 반값 비용으로 드라마를 만들 수 있어, 가성비가 뛰어나기 때문으로 보인다.

 

여기에 일부 국내 방송드라마 제작진에서도 일본인 배우 출연도 검토 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어 충격도 예상된다. 다만 결정된 것은 아닌 것으로 보인다.

“비싼 출연료와 제작비 때문에 글로벌 OTT들 일본으로 발길 돌리고 있다”
“비싼 출연료와 제작비 때문에 글로벌 OTT들 일본으로 발길 돌리고 있다”

최근 종영한 눈물의 여왕16부작에 총 560억원, 회당 35억원의 제작비가 사용됐다. 비록 눈물의 여왕만큼은 아니더라도 최근 드라마 시장은 아무리 싸게 찍어도 회당 10억원은 넘어야 한다는 말이 나오고 있다. 그것도 회당 몇억원의 출연료를 줘야 하는 톱 배우 없이 만들었을 때 가능한 얘기다. // 국내 방송드라마 제작진에서도 일본인 배우 출연도 검토 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어 충격도 예상된다. 다만 결정된 것은 아닌 것으로 보인다.

 

배우 한효주가 주연을 맡은 일본 넷플릭스 시리즈 ‘로맨틱 어나니머스’(사진, 일본 넷플릭스)

 

얼마전 종영한 tvN ‘눈물의 여왕16부작에 총 560억원, 회당 35억원 정도의 제작비를 사용한 것으로 알려졌다. ‘눈물의 여왕만큼은 아니더라도 최근 드라마 시장은 아무리 싸게 찍어도 회당 10억원은 넘어야 한다는 말이 나오고 있다. 그것도 회당 몇억원의 출연료를 줘야 하는 톱 배우 없이 만들었을 때 가능한 얘기다.

 

OTT 업계 관계자는 불과 얼마전까지 드라마 제작비는 회당 평균 3~4억 원이었다. 최근엔 회당 20억원이 흔해졌다고 말했다.

 

드라마 제작비의 가장 큰 몫을 차지하는 것은 배우 출연료다. 업계 관계자들은 유명 톱 배우들은 이제 출연료 회당 10억원 소리를 하는 게 평균이 됐다고 말했다.

 

디즈니+(플러스) 드라마 삼식이 삼촌주요 배우 송강호의 회당 출연료는 7억원, 100억원 넘는 것으로 알려졌고 오징어 게임 시즌2’에 출연하는 이정재의 회당 출연료는 10억원이 넘는 것으로 전해졌다. 주연급 배우 회당 출연료 3~4억원은 기본이 됐다는게 업계 관계자의 설명이다.

 

넷플릭스에 따르면 지난해 하반기 기준 비영어권 콘텐츠 가운데 한국 9%, 일본이 5%를 차지했다. 업계에선 치솟은 콘텐츠 제작비로 일본 콘텐츠에 대한 비중이 더욱 늘어날 것으로 보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일본의 정서가 한국과 비슷하고, 통하는 부분이 많아 OTT들에게 가성비 가 뛰어나 일본이 점차 확대될 것으로 전망 된다고 말했다.

 

반면 한국 드라마에 대한 지속 가능성에 대한 우려는 점차 커지고 있는 상황이다. 제작비 폭등으로 다수의 방송사들은 이미 드라마 제작을 대폭 축소했다. 대부분 수목드라마를 잠정 중단했고 미니시리즈는 물론 월화드라마의 편성도 축소 중이다. 2022년 국내 채널에서 약 141편이었던 드라마 편성 수가 작년 123, 올해는 100편 정도로 30~40%가량이 줄었다.

 

티빙, 웨이브 등 토종 OTT들도 드라마에 대한 투자를 크게 줄었다. 특히 웨이브는 올해 선보이는 드라마는 한편도 없는 것으로 전해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