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활 · [ 물가 ](54)
-
추석 앞두고 오르는 과일값 배 소매가격 작년보다 22%↑…한우는 당분간 고공행진
추석 앞두고 오르는 과일값 배 소매가격 작년보다 22%↑…한우는 당분간 고공행진 추석 앞두고 과일·고깃값 강세 / 사과·배 출하 증가로 가격 안정 가능성 / 한우는 당분간 고공행진 / 배 출하가 본격적으로 이뤄지면 가격 내림세는 보다 뚜렷해질 것으로 예상된다. 추석 명절을 약 2주 앞두고 수요가 많은 과일이나 축산물 가격의 경우 특히 한우가 추석 성수기 도축 마릿수는 지난해보다 약 10%, 평년보다 7%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여기에 국민지원금 지급이 가격을 더 끌어올리는 변수로 작용할 수 있다고 농업관측센터는 내다봤다. 정부는 추석 물가 안정을 위해 성수품을 예년보다 대폭 확대해 공급하기로 했다. 추석 명절을 약 2주 앞두고 수요가 많은 과일이나 축산물 가격이 강세를 보이면서 소비자의 부담이 커지고 있..
2021.09.05 -
6개월째 소비자물가 2.4%↑두자릿수 상승…외식물가는 2년3개월만 최고
6개월째 소비자물가 2.4%↑두자릿수 상승…외식물가는 2년3개월만 최고 6월 소비자물가 2.4%↑ 석달째 2%대 / 계란 55%↑,마늘 49%↑ / 농축수산물 6개월째 연속두자릿수 상승 / "개인서비스 오름세 지속 전망" / 소비자물가 2.4% / 농축수산물 6개월째 두자릿수 증가 / 그 외 마늘(48.7%), 고춧가루(35.0%) 등이 많이 올랐다. / 국제유가 기저효과 완화 / 외식물가는 2년3개월만 최고 / 생활물가지수 3.3%↑…"하반기 물가 안정 불투명 " 올 우리나라 지난달 소비자물가가 2.4% 올라 석달 연속 2%대 상승률을 기록했다. 지난 2일 통계청 소비자물가 동향에 따르면 6월 소비자물가지수는 107.39(2015년=100)로 지난해 같은 달과 비교해 2.4%↑가 상승했고 2분기(4∼6..
2021.07.03 -
"CU, 라면 1개 380원" ‘최저가’ 태풍…최저가 전쟁'이 유통가 전반으로 확산
"CU, 라면 1개 380원" ‘최저가’ 태풍…최저가 전쟁'이 유통가 전반으로 확산 "CU, 라면 1개 380원" 유통가 전반으로 퍼지는 ‘최저가’ 태풍 / 쿠팡ㆍ대형마트 이어 편의점ㆍ슈퍼ㆍ홈쇼핑까지 확산 / "납품업체 가격인하 압박 받을 것" 우려도 대형마트 이어 편의점ㆍ슈퍼ㆍ홈쇼핑까지 확산 온오프라인을 막론하고 유통가는 지금 일파만파 퍼지고 있는 할인 경쟁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상품을 소비자에게 판매하는 대형 유통사가 사실상 '갑'인 상황에서 할인 정책이 계속되면 결국 제조사는 인하 압박을 받게된다. 영세한 제조사의 경우 납품가 인하 압박에서 자유롭기 힘들다는 것이 업계 설명이다. "대형 제조사의 경우 무조건적인 단가 인하 압박에 납품을 거부하는 등 상대적으로 자유롭게 대응할 수 있다..
2021.04.21 -
소비자물가 지난달 계란값 22% 올랐다.…통계청 조사엔 15% 상승
소비자물가 지난달 계란값 22% 올랐다.…통계청 조사엔 15% 상승 통계청 "조사 시점 차이로 추정" / 쌀, 야채·과일·달걀 가격 '껑충' / 이는 통계청 조사보다 7.2%포인트 높은 수준이다. 지난 8일 통계청에 조사에 따르면 지난 1월 계란 가격은 1년 전보다 15.2% 상승했다. 하지만 통계청조사는 일반 소비자가 현장에서 늦기는 차이는 무려 50%~100% 이상 차이도 난다. 통계청은 1월 소비자물가는 작년 동월 대비 0.6% 올랐지만, 농·축·수산물은 10.0% 급등했다. 사과(45.5%), 파(76.9%), 고춧가루(34.4%), 양파(60.3%), 달걀(15.2%), 쌀(12.3%) 등의 상승률이 높았다. 장바구니 물가가 고공행진을 이어가는 가운데 통계청 소비자물가동향의 가격 상승률이 다른 ..
2021.02.08 -
쌀, 기름값, 전월세 핵심 생활 물가 크게 올라…서민생활 부담 가중
쌀, 기름값, 전월세 핵심 생활 물가 크게 올라…서민생활 부담 가중 쌀값·기름값·전월세 고공 행진 / 서민 핵심 생활 물가 크게 올라 / 쌀, 유가, 신선식품 고공 행진 / 집값·전월세 상승 지속에 무주택자 고통 가중 / 생활과 직결된 농수산물 가격이 크게 올랐다. 통계청에 따르면 작년 12월 소비자물가지수는 전년 같은 달보다 0.5% 올랐으나 국민 식생활에 필수적인 농·축·수산물은 9.7%나 껑충 뛰었다. 농산물은 6.4%, 축산물은 7.3%, 수산물은 6.4% 각각 올랐다. 채소와 과일 등 신선식품도 10%나 올랐다. 특히 국민의 주식인 쌀값이 11.5%나 뛰었다. 최근 쌀값이 치솟자 한국 YWCA연합회는 쌀 가격 안정화를 촉구하는 성명을 내고 "농가소득 보전에는 막대한 세금을 지출하면서 쌀값은 매년..
2021.01.09 -
"네이버" 새벽배송 이마트·롯데·쿠팡 등과 '장보기' 정면승부
"네이버" 새벽배송 이마트·롯데·쿠팡 등과 '장보기' 정면승부 네이버 "쿠팡 덤벼라" 홈플러스·GS프레시몰 등 '장보기 입점 등 서비스 전쟁 벌어졌다 네이버페이로 결제·포인트 적립 / 유통사가 배송·상품준비 맡고 / 전국 당일·새벽배송 서비스 실시 / 이마트·롯데·쿠팡 등과 정면승부 / 홈플러스 20일 네이버 '장보기' 서비스에 입점 / 네이버는 쿠팡·쓱닷컴·마켓컬리와 경쟁 / 온라인몰에서 판매하는 2만3000여 종의 상품을 당일 배송 홈플러스가 20일 네이버 '장보기' 서비스에 입점했다. 온라인몰에서 판매하는 2만3000여 종의 상품을 당일 배송한다. 네이버가 ‘장보기’라는 서비스로 신선식품 시장에 새로 진출했다. 신선·가공식품과 생필품 등을 한데 모아 판매하는 사업이다. 홈플러스, GS프레시몰과 하나..
2020.08.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