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연 · [ 환경 ](31)
-
오세훈 도시개발과 "녹지생태도심 재창조 전략' 발표."…세운지구 재개발에 탄력
오세훈 도시개발과 "녹지생태도심 재창조 전략' 발표."…세운지구 재개발에 탄력 ┃오세훈, 숙원사업이던 세운상가 재개발 계획 비전 발표 / 세운지구를 보면 피를 토하고 싶은 심정이라던 세운지구 / "피 토하는 심정"을 발언했던 오세훈의 '세운지구 재개발' 어떻게 바뀔까? / 고층빌딩숲과 나무숲이 공존하는 ‘녹지생태도심’으로 재창조하겠다 오세훈 서울시장이 도심 최대 재개발 지역이자 숙원사업이던 세운상가 재개발 계획과 함께 종묘-퇴계로 일대를 고층빌딩숲과 나무숲이 공존하는 ‘녹지생태도심’으로 재창조하겠다는 비전을 내놓았다. 오 시장은 21일 세운재정비촉진지구(이하 세운지구)를 찾아 ‘녹지생태도심 재창조 전략’을 밝혔다. 해당 전략은 서울의 중·장기 계획인 동시에 오 시장의 선거 주요 공약이기도 하다. 녹지생태..
2022.04.24 -
토지이용과 기후변화의 상호작용으로 꿀벌만 사라진 게 아니다…곤충 50% 실종된 곳도
토지이용과 기후변화의 상호작용으로 꿀벌만 사라진 게 아니다…곤충 50% 실종된 곳도 ┃영국 연구팀 세계 곤충 2만종 자료 분석 결과 / 토지 집약 이용+온난화 지역서 절반 줄어 / 저강도 농업+자연 서식지에선 7%만 감소 / 우리나라에서 꿀벌 수십억 마리가 실종 토지이용과 기후변화의 상호작용으로 고강도 농업과 기후 온난화가 겹치는 지역에서 곤충 개체 수가 49% 감소한 것으로 분석됐다. 올 봄 우리나라에서 꿀벌 수십억 마리가 실종된 원인으로 이상 기상현상이 가장 주요하게 꼽히고 있다. 그러나 기후변화로 사라진 건 꿀벌만이 아니다. 영국 연구진은 전 지구에서 토지이용과 기후변화의 상승작용이 일어난 지역에서 곤충 개체 수가 절반 가까이 사라졌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영국 유니버시티칼리지런던 연구팀은 20..
2022.04.21 -
유통 기한 임박한 모더나 백신 들여온다…“백신처리국” 굴욕에 대해 대답하라
유통 기한 임박한 모더나 백신 들여온다…“백신처리국” 굴욕에 대해 대답하라 국민의힘 "백신처리국 굴욕에 대해 文, 대답하라 / 원조국을 수혜국으로 만든 첫 대통령" / '유통기한 임박한 모더나 백신 공여' 알려진 날 / 문 대통령 자화자찬 글 올려 / 野 "백신 처리국으로 전락해 / 국민들의 고통 초래에 사과하라" 맹공 / 野 "폐기 직전 백신 들여오는 굴욕" 외교 / "백신 수혜국" "정부 무능하면 국민이 고생" 정부가 루마니아로부터 유통 기한이 임박한 ("폐기 직전 모더나 백신)모더나 백신을 들여온다는 사실이 알려졌음에도, 문재인 대통령이 백신 접종 속도가 빠르다며 자화자찬"하고 있다. 이에 야당은 강하게 비판하고 있다. 현재 다른 나라는 백신이 남아도는데 우리 정부는 왜 백신 수급에 실패한 것인지에..
2021.08.23 -
한국 개입 요청에 미국 "식품안전 영향 없어" 판단…일본 런던협약· '논의 대상 아냐'
한국 개입 요청에 미국 "식품안전 영향 없어" 판단…일본 런던협약· '논의 대상 아냐' 한국의 개입 요청에 미국 "부적절" / 한국 쉽지 않은 일본 오염수 외교전 / 정의용 협조 당부 다음날 케리 "일본·IAEA 확신한다"며 선 그어 / 미국 "식품안전 영향 없다." 며 일본 손들어줘 / 한국 정부 사실상 설득 쉽지 않을 듯 / 케리 "日-IAEA 오염수 협력 확신 / 미국 뛰어들기 적절치 않아" / 케리방한 "오염수 우려 있지만 IAEA가 엄격한 절차 마련했을 것" / 해수부, 런던협약·의정서 전문가 회의에 日오염수방출 문제제기 / "중국·그린피스도 일본 정부 결정에 우려 표명 / 일본 '논의 대상 아냐' 주장“ 한국의 협조 요청에도 미국이 일본의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 방류 결정에 대한 지지를 거듭 확..
2021.04.19 -
서울 수돗물 유충 신고속출·불안 전국 확산…정수장 유충 발견은 인천뿐
서울 수돗물 유충 신고속출·불안 전국 확산…정수장 유충 발견은 인천뿐 국무총리 "철저한 재발 방지 대책 마련" 지시…가정 하수구·배수구를 통한 유입으로 추정 유층 "대부분 급수외적 요인" / 정수장 유충 발견은 인천뿐 / 정수장 유충 발견은 인천뿐 /서울 "수돗물 시료 이상없어" / "인천 수돗물 유충, 정수장서 관로 거쳐 가정으로" / "인천 이외 지역 물탱크·배수구 등에 유충 유입 가능성 커" / 정부, 전국 정수장 484곳 긴급 점검 인천에서 수돗물 유충이 계속 발견되고 있는 가운데 서울·부산·경기 등 다른 시·도에서도 유충 발견 신고가 잇따라 접수되고 있어 상수도 관리 당국이 조사에 나섰다. 하지만 현재까지 인천을 제외하고 대부분 지역에서는 가정 하수구·배수구를 통한 유입 등 급수 외적 요인 때문..
2020.07.21 -
서식 환경 좋아지며 최근 선유도에 흰발농게 63만마리 서식 확인…국내 최대 규모
서식 환경 좋아지며 최근 선유도에 흰발농게 63만마리 서식 확인…국내 최대 규모 선유도 일원에 멸종위기종인 흰발농게가 대규모로 서식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선유도 서식 환경 좋아지며 최근 개체 수 급증 / 흰발농게 실태를 조사한 결과 60만여서식 / 남해 서해안에 분포 혼합 갯벌에 ..
2019.11.04